다문화주의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문화를 지닌 민족이나 문화집단이 공존하는 형태를 의미하는데, 다문화주의는 문화의 범위를 넘어 정치, 경제, 사회등 여러 분야에서 인종, 젠더의 차이로 인한 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문화 다원주의를 추구하는 정치이데올로기적 입장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가가 추구하는 정책, 시민운동의 목표, 국민통합의 이데올로기를 지칭하기도 합니다.
인종과 문화, 성과 종교를 기준으로 끊임없이 분화되고, 분절되는 다문화 사회에서 단일 민족, 단일문화라고 믿어왔던 대한민국사회는 자본과 노동의 세계화에 따른 이주 노동자들의 유입과 결혼을 통한 다양한 국가에서의 유입등을 통해 100만이 넘는 다문화 가구원을 받아들이면서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완료한 상황입니다.
이처럼 다문화 주의는 우리사회의 다양성을 반영하는 주요 키워드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유형은 앞서 이야기한 대한민국처럼 유입되는 이주민으로 인해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 또는 도전에 직면한 경우와 캐나다나 미국처럼 국가의 출범 초기부터 다양한 민족, 인종, 문화로 구성되어 이민자의 나라였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주민의 유입으로 인해 다문화에 직면하게 되는 사회에서는 사회통합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되고, 문화적 분열이나 국가정체성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은 심각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다문화주의의 개념
다문화주의에 대한 개념은 연구자들별로 차이가 있지만 서로 다른 생활양식을 공유하는 문화집단이 하나의 공동체 안에서 함께 존재할 때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공동체 안에서 공존을 추구하는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연구자 | 다문화주의에 대한 개념정의 |
김남국(2005) | 사회적 소수집단의정체성과 문화적 이해를 공공영역에서 적극적으로 인정하려는 일련의 흐름. |
문경희(2006) |
다문화주의는 문화 다원주의를 추구하는 정치 이데올로기적 입장이며, 한 국가가 추구하는 정책, 시민운동의 목표, 국민통합의 이데올로기를 의미 |
윤인진,송영호(2007) | 사회내 다양한 인종이나 민족 집단들의 문화를 단일한 문화로 동화시키지 않고, 소수 인종과 민족 집단의 차이와 자율성을 존중하하는 것을 의미 |
신재주(2010) |
다문화주의는 여러 요인들에 의해 유입된 다양한 문화를 기존의 사회가 수용하고 조화시키면서 공존을 모색하는 사회를 의미 |
오경석(2010) | 다문화주의는 이주의 보편화, 인권 개념의 확산, 소수자들의 정치적 자의식, 그리고 문화적 가치의 부상과 연동된 정의 개념의 재규정 등과 관련된 새로운 양상의 사회적 결사(곧 다문화사회)를 지향하는 정치 철학이요, 정치 지향이자, 방법론 |
한건수(2010) |
다문화주의는 단순히 다른 문화의 수치상의 다원성을 의 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양한 공동 사회가 자신들의 속도에 따라 성장할 수 있는 공간과 영역을 만들어내서 서로 존중하고 격려해 주는 하나의 공동 사회를 의미 |
김병조 외 (2011) |
다문화주의란 한 사회내의 다양한 인종이나 민족 집단들 의 문화를 단일한 문화로 동화시키지 않고, 서로 인정하 고 존중하면서 공존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는 이념체계 와 그것을 실현시키려고 하는 정부 정책 및 프로그램을 의미 |
김태환(2015) |
다문화주의의 사전적 정의는 ‘다양한 문화와 유형의 서 로 다른 주변문화를 모두 제도권 안으로 수용하자는 입 장’ 또는 ‘서로 다른 문화를 세계주의나 다원주의 입장 에서 유용하게 수용하자는 입장’을 의미 |
Taylor(1992) |
다문화주의는 문화적 다수집단이 소수집단에 대해 동등한 가치를 지닌 집단으로 존중하는 ‘인정의 정치(the politics of recognition)’를 의미 |
Kymlicka(1995) |
다문화주의가 자유민주주의에 의한 광범위한 합의와 지지 가 전제된 조건에서 다양한 문화적 주체들의 특수한 삶의 권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것을 의미 다문화주의가 구체화되기 위해서 국가적 수준에서 법, 제도 등 다문화주의 정책이 운용되어야 하며 개별적 수준에서는 다문화적 시민이 지녀야 할 지식, 신념, 미덕, 습관, 성향 또는 이른바 다문화적 스킬을 제시하고 있다. 다문화주의는 다른 문화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갖는다고 해서 호감이 늘어가는 것이 아니며 다른 민족의 신념, 차이 그 자체를 인정하는 것. |
Berry(1997) |
이주의 결과로 많은 사회들이 문화적으로 다양해지는 현상 |
Castles & Miller(2009) |
다문화주의란 주류 사회가 소수문화와의 문화적 차이를 기꺼이 수용하고 소수자의 동등한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행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를 지향하는 이념으로 사회적 통합과 갈등해결을 위한 중요한 도구가 될수 있 |
이해 충돌과 갈등
1. 선주민과 이주민의 갈등
2. 사회적 소수와 사회적 다수의 집단이 공존하면서 겪는 갈등
3. 선주민 입장
낯선 사람들이 유입으로인해 일상생활의 변화를 겪게 되면서 받는 충격과 노동시장에서의경쟁의 심화, 전통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걱정 등 → 이주민들에게 자신들의 문화에 동화되어 줄 것을 요구하게 됨
4. 이주민의 입장
인종과 문화에 관계없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개인으로서의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자신들의 문화 정체성에 대한 인정과 자신의 문화와 전통을 유지하기를 원함
다문화주의가 가져오는 사회적 이익
1. 문화적 풍요 : 사회 구성원들에게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제공하며, 언어, 요리, 예술 등 여러 문화가 가지는 세계관에 노출됨에 따라 지평을 넓히고, 상호 이해를 촉진합니다.
2. 경제적 이익 : 전 세계의 다양한 인재유입과 자유로운 투자 유입으로 인해 경제성장을 촉진화 할 수 있습니다.
3. 사회적 결속력 :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개인들의 공동체 형성을 통해 사회적 결속력과 일체감을 키울 수 있으며, 각자의 차이를 존중하고, 공유가치를 인식함으로써 강력한 사회적 유대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다문화주의 정책의 위험성
다문화주의 정책은 민족적 혼종성과 문화적 다양성 자체를 사회구성의 기본원리로 삼고 다양성이 공존하는 가운데 집단 간 상호존중의 질서가 자리 잡도록 하는 데 정책의 목표를 두고 있으며, 이주민들에게 굳이 출신문화를 벗고 새로운 문화에 동화하도록 요구하지 않고, 출신문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주체들이 사회ㆍ문화ㆍ정치ㆍ경제 등 각 분야에서 함께 활동하면서 원활히 상호교류를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1. 소수 집단이 서열화할 수 있습니다. 배타적인 지위를 누리고 있는 다수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정주민들은 이주민을 출신국가의 경제력이나 인종과 민족 등 피부색을 기준으로 서열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소수집단에 대한 차별을 은폐하고 소수민족공동체를 탈 정치화하며 분열시킬 수 있습니다. 국가에서 시행하는 다문화 축제에서 소수민족 문화는 이국적인 것으로 낙인찍히고 상품화되는 경향을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소수집단에게 자신의 언어나 제도를 사용하도록 허용할 경우, 같은 국가에 거주하는 다른 인종이나 민족 집단과 상호 교류가 적어지거나 없어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4. , 이주민 개인은 문화와 정체성, 공동체 안에서 고립될 가능성이 있다.
5.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이 은폐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생활의 양식을 공유하는 문화 집단이 하나의 공동체 안에 함께 존재할 때 우리는 그 상태를 다문화사회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나의 사회 안에 공존하는 문화는 다수 문화와 소수 문화로 나뉘어 위계질서를 형성하고, 다수 문화는 그 사회의 지배적인 문제 해결 방식과 소통 방식을 독점함으로써 배타적인 지위를 누리게 됩니다.
그리고 그들은 이와 같은 지위가 주는 편리함을 좀처럼 소수문화에 양보하려 하지 않으며, 대체적으로 지배적인 문화를 결정짓는 가장 큰 요인은 문화 집단의 크기이기 때문에 다수집단은 소수집단의 인원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이게 됩니다.
사회 공동체가 발전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는 문화들을 수용하고, 공존하는 다문화주의의 형태로 가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내국인, 다수가 가지고 있는 문화, 선주민이라고 하는 가치관이나 문화를 보호하기 위해 차별이나, 배제적 정책적 방향을 취한다면 이미 진행된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정체되거나 퇴보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문화적 가치의 융합은 인류를 더욱 진보시키는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김남국(Kim Nam-Kook). "다문화 시대의 시민." 國際政治論叢 45.4 (2005): 97-121.
김수진. "한국 다문화사회의 사회통합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9. 부산
이태주․권숙인. 2007. 다민족․다문화사회 진전에 있어서의 사회갈등양상과 극복과정.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오경석(2010) 한국의 다문화주의 : 현황과 쟁
Taylor, C. (1992). 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recogni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Kymlicka, W. (1995). Multicultural citizenship: A liberal theory of minority right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Berry, J. W. (1995). Acculturation: Living successfully in two cultures. New York: Psychology Press.
Castles, S., & Miller, M. J. (2009).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4th ed.). New York: Guilford Press.
'공부하기 > 다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적응 이론 - 존 W. 베리(John W. Berry) (0) | 2024.02.13 |
---|---|
사회통합정책의 모델 비교: 차별배제모형 (0) | 2024.02.11 |
디아스포라와 다문화 사회에서 살아가는 이주민의 정체성 (0) | 2024.01.29 |
보흐너의 문화 접촉 이론: 사회 내 접촉과 사회 간 접촉 (0) | 2024.01.17 |
오베르크 K. Oberg, 문화충격(Culture Shock) (0) | 2024.01.16 |